Overview 지금까지는 확률변수를 하나만 생각하며 이야기는 나누었다. 그럼 2개 혹은 그 이상일때에는 어떻게 될까? 확률변수 X, Y와 이에 대응하는 확률밀도함수가 f(X),f(Y)가 주어질때, 두 변수를 모두 고려한 확률밀도함수는 f(X,Y)로 표현할 수 있다. 그리고 이것이 바로 결합확률밀도함수(join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) 이다. 아래는 두 이산형의 확률변수의 표현식. 참고로 결합확률질량함수라고도 부른다. 아래는 연속형인 경우의 표현식 (A는 x,y에 걸쳐 관심이 있는 사건영역) 결합누적분포함수(joint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)는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다. 결합확률질량함수(joint probability den..